랜섬웨어 보안 폴더는 어떻게 사용하는 건가요?
랜섬웨어 보안 폴더는 허용하지 않은 프로세스가 보안 폴더에 접근하는 경우, V3에서 해당 접근을 차단하여 폴더를 보호하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사용자가 허용한 프로세스 이외에는 해당 폴더에 접근이 불가능하도록 하여, 중요 파일들이 랜섬웨어로 인해 암호화 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습니다.
랜섬웨어 보안 폴더 설정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V3를 실행하여 환경 설정(오른쪽 위 혹은 왼쪽 아래의 톱니바퀴 모양 아이콘)으로 이동합니다.
2. 왼쪽의 '랜섬웨어 보안 폴더 설정'을 클릭합니다.
'랜섬웨어 보안 폴더 설정'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1. 랜섬웨어 보안폴더 사용
랜섬웨어 보안 폴더를 사용하려면 이 옵션에 체크가 되어있어야 합니다.
2. 랜섬웨어 보안 폴더 사용 종료 후 자동으로 다시 시작
사용자가 랜섬웨어 보안 폴더를 종료하더라도, 지정한 시간 이후에 자동으로 다시 켜지게 됩니다.
3. 랜섬웨어 보안 폴더 대상 설정
[추가] 버튼을 통해 보안 폴더를 설정할 수 있으며, 하위 폴더도 적용 됩니다.
C:나 D: 처럼 드라이브를 통째로 지정할 수는 없습니다.
※ 보안 폴더로 지정한 폴더에는 허용 프로세스 외에는 접근이 되지 않습니다.
※ 일반 프로그램 설치 경로 등을 보안 폴더로 지정하면 사용자 불편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4. 허용 프로세스 설정
허용 프로세스의 [추가]버튼을 클릭하여 원하는 프로그램을 허용 프로세스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
※ V3 365 Clinic과 V3 Lite 사용자의 경우, [허용 프로세스] 탭으로 이동 후 [추가]를 누르시면 됩니다.
등록할 프로그램 경로를 직접 찾기 어려운 경우, 아래의 연관 질문 2번을 확인 해주십시오.
[연관 질문]
1. 어떻게 사용하는 건지 잘 모르겠어요.
랜섬웨어에 감염되면 PC 내의 사진, 문서, 음악, 동영상 파일 등을 암호화시켜 사용할 수 없게 만듭니다.
암호화되면 안되는 소중한 파일이 저장된 폴더를 랜섬웨어 보안 폴더로 지정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예를 들어, 워드 파일을 저장한 폴더를 랜섬웨어 보안 폴더로 지정 후, 허용 프로세스에 MS워드 프로그램을 추가하면 워드 프로그램으로만 해당 폴더에 접근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는 워드 파일을 사용할 수 있지만, 악성코드는 해당 파일에 접근할 수 없어 보다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2. 제가 쓰는 프로그램을 어떻게 허용해야할지 모르겠어요.
보안 폴더에 파일을 저장할 때, 혹은 이미 보안 폴더에 존재하는 파일을 수정하려고 할 때 아래와 같은 창이 나타납니다.
'허용 프로세스로 추가'에 체크한 상태로 [확인]을 누르면 '허용 프로세스 설정' 목록에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이 등록 됩니다.
만약 문서 등이 '읽기 전용'으로 실행된 경우, 창을 닫고 다시 열면 수정할 수 있게 됩니다.
3. 알림창에 '허용 프로세스로 추가' 옵션이 없어요.
허용할 수 없는 프로세스(악성코드가 악용할 수 있는 프로세스)로 보안 폴더 안의 파일에 접근하면 이런 알림이 발생합니다.
해당 알림이 발생하여 필요한 작업을 진행할 수 없는 경우, 랜섬웨어 보안 폴더를 잠시 종료한 뒤 작업을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기본 값으로는 10분 후 자동으로 기능이 다시 켜집니다.)
혹은 해당 파일을 다른 폴더로 이동시킨 뒤, 작업을 끝내고 다시 보안 폴더로 이동하셔도 됩니다.